[CentOS7] 리눅스 서버에 오라클DB 설치하기
리눅스 CentOS7에 오라클DB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2021.04.26 - [개발관련/오라클 클라우드] - 오라클 클라우드 VM 설치(CentOS7) 및 기본 설정
오라클 클라우드 VM 설치(CentOS7) 및 기본 설정
오라클 클라우드 VM 설치(CentOS7) 및 기본 설정 2021.04.26 - [개발관련/오라클 클라우드] - 오라클 클라우드를 통한 개인 클라우드 서버 구성하기 오라클 클라우드 가입과정은 생략합니다. 오라
heekng.tistory.com
1. 설치파일 다운로드
파일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FTP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
www.oracle.com/database/technologies/xe-prior-releases.html
오라클 홈페이지에서 본인이 필요한 버전의 오라클 DataBase 리눅스용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한다.
FileZilla와 같은 FTP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받은 설치파일을 클라우드 서버의 원하는 위치에 업로드합니다.
2021.04.27 - [개발관련/오라클 클라우드] - 파일질라(FIlezilla)를 이용해 원격 서버에 파일 전송하기
파일질라(FIlezilla)를 이용해 원격 서버에 파일 전송하기
파일질라(FIlezilla)를 이용해 원격 서버에 파일 전송하기 2021.04.26 - [개발관련/오라클 클라우드] - 오라클 클라우드 VM 설치(CentOS7) 및 기본 설정 오라클 클라우드 VM 설치(CentOS7) 및 기본 설정 오.
heekng.tistory.com
여기서는 oracle-xe-11.2.0버전을 설치하며, /home/opc 경로에 zip파일을 업로드했습니다.
2. 사전 설치 패키지 설치
서버 접속 후 root계정 접속
su root
사전 설치파일 설치
yum install binutils combat-libcap1 combat-libstdc++-33 gcc gcc-c++ glibc glibc-devel ksh libgcc libstdc++ libstdc++-devel libaio libaio-devel make sysstat
중간에 설치 동의 여부가 나오면 y 입력 후 엔터
3. 그룹 권한 설정
groupadd oinstall
groupadd dba
useradd -G oinstall -G dba oracle
passwd oracle
4. 커널, 자원제한 설정
vi /etc/sysctl.conf
i 입력하여 입력상태로 변경
fs.aio-max-nr = 1048576
fs.file-max = 6815744
#kernel.shmall = 2097152
#kernel.shmall = 536870912
kernel.shmmni = 4096
kernel.sem = 250 32000 100 128
net.ipv4.ip_local_port_range = 9000 65500
net.core.rmem_default = 262144
net.core.rmem_max = 4194304
netcore.wmem_default = 262144
net.core.wmem_max = 1048576
가장 아래에 위와 같이 입력 (복붙보단 직접입력 추천)
ESC 눌러서 입력상태 나가기 - :wq 입력 - 엔터
vi /etc/security/limits.conf
oracle soft nproc 2047
oracle hard nproc 16384
oracle soft nofile 1024
oracle hard nofile 65536
oracle soft stack 10240
위에서 한 것과 동일하게 가장 아래에 위와 같이 입력 후 저장
reboot
reboot 명령어로 재부팅
5. 오라클 환경변수 설정
su root
cd /home/oracle
관리자 계정 전환 후 /home/oracle 경로로 이동
vi .bash_profile
ORACLE_BASE=/u01/app/oracle
ORACLE_SID=XE
ORACLE_HOME=$ORACLE_BASE/product/11.2.0/xe ORACLE_HOME_LISTNER=$ORACLE_HOME/bin/lsnrctl
PATH=$ORACLE_HOME/bin:$PATH
export PATH
export ORACLE_BASE
export ORACLE_SID
export ORACLE_HOME
export ORACLE_LISTNER
export TMP=/tmp
export TMPDIR=$TMP
가장 아래에 위와 같이 입력 후 저장
ORACLE_HOME의 경우 중간 11.2.0 부분에 본인이 설치할 오라클의 버전을 입력
source .bash_profile
source .bash_profile 입력하여 환경변수 적용
6. 오라클 설치
cd /home/opc
ls
unzip oracle-xe-11.2.0-1.0.x86_64.rpm.zip
오라클 설치 파일(zip)을 업로드한 위치로 이동 후 압축 해제
ls
cd Disk1
ls
rpm -Uvh oracle-xe-11.2.0-1.0.x86_64.rpm
Disk1 폴더 생성 확인 후 Disk1폴더로 이동 후 rpm파일 설치
위와 같이 You must run '/etc/init.d/oracle-xe configure' as the root ruser to configure the database. 문구가 뜨면
sudo /etc/init.d/oracle-xe configure
위와같이 입력하여 기본 설정 (포트번호, sys계정 패스워드, 재부팅시 바로 실행 여부)
위와 같이 환경설정은 바로 해야 이후에 오류가 없습니다.....
7. 세부 환경설정
cd /u01/app/oracle/product/11.2.0/xe/network/admin
vi listener.ora
경로 이동 후 listener.ora 파일 편집
오라클 11g 11.2.0버전 기준 위와 같이 입력 후 저장
줄넘김을 하지 않은 이유는 엔터가 잘못 읽혀 오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vi tnsnames.ora
tnsnames.ora 편집
위와 같이 입력 후 저장
8. 오라클 실행 확인
lsnrctl
start
status
lsnrctl 입력 후 start
status 입력 시 위와 같이 나오면 정상 설치된 것입니다.
9. 마침
위 과정을 모두 마치면 oracle 계정 전환 후 sqlplus 명령어로 oracle 이용이 가능합니다.
외부 dbeaver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연결시에 ip주소를 해당 서버 ip로 접근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접속이 불가능 할 때에는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1521/tcp 입력하여 방화벽을 열어줍니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spberry Pi]라즈베리파이4 Ubuntu Server 시작하기 (0) | 2022.04.19 |
---|---|
SpringBoot Jenkins 배포 자동화 2 (0) | 2022.04.02 |
SpringBoot Jenkins 배포 자동화 1 (0) | 2022.03.23 |
오라클 서버(리눅스)에 ssh키 추가 등록하기 (0) | 2021.05.17 |
파일질라(FIlezilla)를 이용해 원격 서버에 파일 전송하기 (5) | 2021.04.27 |
오라클 클라우드 VM 설치(CentOS7) 및 기본 설정 (6)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