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2 [Spring] REST Controller 댓글 기능 Rest방식 구현 [Spring] REST Controller 댓글 기능 Rest방식 구현 Spring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방식에는 REST가 있다. 게시판 페이지의 게시글 상세보기의 경우 댓글을 불러올 때에 페이징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ajax를 이용해 JSON데이터를 REST로 받아오는 식으로 설계한다. REST Controller package com.heekng.controll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MediaType; .. 2021. 5. 23. REST 방식 REST 방식 REST방식의 통신이란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를 대표하도록 설계되고, 이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다. 용어 URI : 사용자의 요청을 주소로 나타낸 부분이며, 페이지로 나타내진다. URL: 사용자의 요청을 대표하는 데이터 혹은 응답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 부분이며, 데이터로 나타내진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직역하면 대표하는 상태를 전송하는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를 대표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board/123 이라는 URI는 게시글 중 123번 게시글을 뜻하는 것이다. REST로 설계하는 이유 데이터 통신에 제약이 없다. 데이터 소켓 경량화 다른 서버끼리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2021. 5.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