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ST 방식
REST방식의 통신이란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를 대표하도록 설계되고, 이를 통해 통신하는 것이다.
용어
URI : 사용자의 요청을 주소로 나타낸 부분이며, 페이지로 나타내진다.
URL: 사용자의 요청을 대표하는 데이터 혹은 응답에 대한 데이터를 나타낸 부분이며, 데이터로 나타내진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직역하면 대표하는 상태를 전송하는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하나의 URI는 하나의 고유한 리소스를 대표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board/123 이라는 URI는 게시글 중 123번 게시글을 뜻하는 것이다.
REST로 설계하는 이유
- 데이터 통신에 제약이 없다.
- 데이터 소켓 경량화
- 다른 서버끼리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를 통신할 때 어떤 서버에서도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제약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반응형
'Java & Kotlin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게시판 프로젝트 (2) (0) | 2021.05.23 |
---|---|
[Spring] root-context.xml 구성 (0) | 2021.05.22 |
[Spring] pom.xml 구성 (0) | 2021.05.22 |
전자정부 표준 프레임워크 & 웹 개발 직무 (0) | 2021.05.17 |
[Spring] 게시판 프로젝트 (1) (0) | 2021.05.17 |
[Spring] Spring MVC 프로젝트 구성 순서 (0) | 2021.05.15 |